본문 바로가기

복지꿀팁

청년 허그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보증보험 - 공시지가*126% 확인 필수 I 전세사기 예방

 

부동산에서 일하다보면 2~30대 젊은 손님들이 가장 많이 하는 말,

'허그 버팀목이랑 보증보험 가입 가능한 투룸 좀 찾아주세요!' 입니다. 

 

 

특히 만 19세 이상 만34세 이하까지는 일반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이 아닌 청년형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인기가 많은 정부대출상품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3억이하 임차보증금 중 최대 2억원, 임차보증금의 80% 이내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정부대출 상품입니다.  

 

실제로 저희 부동산 사무실이 있는 지역은 신축급 투룸 빌라 전세가 2억7천~3억대로 형성되어있고, 대부분의 손님들은 최대 80%까지 대출을 받고 있습니다. 

 

문제는 작년부터 일명 '빌라 전세사기' 이슈가 떠오르면서, 허그 버팀목이 가능한 물건을 찾기가 더욱 까다로워졌습니다. 

 

다세대 빌라주택을 기준으로, 해당 호실의 공시지가*126% 안에 전세보증금 금액이 들어와야 허그 대출이 가능하기 때문인데요. (다가구 주택은 허그대출이 더욱 까다롭습니다.)

 

약 2년전만 해도 지금보다 공시지가가 더 높았고, 공시지가*140~150% 안에만 들어도 허그 대출이 가능했었기에 대출이 더 어려워진 셈입니다. 

 

예를들어, 공시지가가 2200만원인 빌라주택의 경우, 2200만원*126% = 2억7천7백2만원보다 전세보증금 금액이 낮아야만 허그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기존 세입자가 전세 3억에 살고 있었다면?

 

임대인은 새로운 허그대출 세입자로부터 2억7천7백2만원밖에 받지 못하니, 3천만원 가까이를 마련해서 기존 세입자에게 내줘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거죠. 

 

이러다보니 임대인분들도 우선은 HF대출이나 일반전세자금대출을 받는 손님부터 구해보고, 만기일 근처까지 집이 안나가면 가격을 낮추는 전략을 생각하고 계십니다. 

 

하지만 공시지가*126% 안에 들지 않으면, 보증보험도 들 수가 없기 때문에 이 방법도 사실상 어렵다고 봐야겠죠. 

(다만, 집주인이 주택임대사업자라면 보증보험은 필수로 가입해야하기에 공시지가*126%와 관계없이 가입 가능합니다.)

 

이러다보니 공시지가가 비교적 낮은 지역의 경우, 허그 버팀목 대출이 가능한 물건을 찾기가 하늘의 별따기입니다. 

 

임대인들은 공시지가*126% 안에 드는 금액만큼만 보증금으로 받고, 나머지는 월세를 받는 식으로 전환을 하고 있지만, 

청년들 입장에서는 버팀목 대출이자+월세까지 부담하는 것도 쉽지 않은 상황이죠.

 

이러다보니 허그 대출이 가능한 물건이 나오면 주말이 지나기 전에 계약이 되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빌라 전세를 구하실 때는, 아무리 마음이 조급하더라도 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한 매물이 맞는지 직접 확인해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동산 중개사님들께 여쭤봐도 잘 대답해주시겠지만, 내 보증금은 내가 지키는 것이 가장 안전하니까요!

네이버부동산에서 매물 찾을 때, 설명란에 대출 관련 내용이 없을 경우 직접 확인해볼 수도 있으니 편리하겠죠?

 

■ 공시지가 확인하는 방법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라는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사이트 메인페이지에서 '공동주택 공시가격'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공시지가를 알고자 하는 주택의 주소를 입력하시고, 해당 호실을 클릭하면 공동주택가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제가 예시로 검색한 호실의 경우, 공동주택가격이 2억4000만원이네요. 

 

이 경우 2억4000만원* 126% = 3억240만원이므로, 전세보증금이 이 금액보다 낮아야 안전한 매물입니다!

만약 전세가격이 3억5천에 나와있다면 허그대출은 물론 보증보험 가입도 불가하다는 점,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허그버팀목 상품의 대체제로 받을 수 있는 'HF 버팀목 + 전세지킴이보증' 상품에 대해 소개해보겠습니다. 

 

지금까지 짧은 포스팅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알아보기

> 부동산 공시가격 확인하기